[펄스회로] 멀티바이브레이터 1. 직사각형 펄스의 발생 (1)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① TR1:ON,TR2:OFF, TR1:OFF,TR2:ON의 2개의 준안정 상태(일시적 안정상태)가 있어,이것이 일정한 주기로 되풀이 된다. 외부의 입력이 없어도 준안정 상태가 반복하여 직사각형 펄스를 발생시킨다. ② 처음에는 TR1-ON, TR2-OFF에 있다고 가정 -TR2.. [전원·에너지] 2013.01.04
[반도체소자] 다이오드의 전압강하 3부 #Class B와 Class AB 두가지를 통칭해서 푸시풀 증폭회로 라고 한다. 특별히 의미있는 용어는 아니다. 현실에서는 푸시풀이라고 표현한다면, AB급 오디오라고 알아 들어면 정확한 이해다. 여자중에는 고양이처럼 밀땅의 고수가 있다. 동일하게 푸시풀에서는 NPN에서는 전류를 밀고, PNP에서는 .. [소자] 2013.01.04
[반도체소자] 다이오드의 전압강하 2부 다이오드의 전압강하 그 자체로도 특별하지만, 오디오 회로에서 다이오드는 아주 특별하고, 천재적으로 응용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번에는 다이오드와 관련해서.... 아마도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 하시는 증폭회로의 종류에 대해서 얘기좀 해보겠습니다. 지금 당장에 증폭회로의 종류.. [소자] 2013.01.04
[회로전원] 평활회로 평활회로란, 교류(AC)를 직류(DC)로 바꾸는 여러 과정 가운데 맥류(脈流)를 완전한 직류로 바꾸어주는 전원공급장치이다. 정류회로·정전압회로와 함께 전원공급장치의 핵심이 되는 정류회로의 일부이다. 교류를 직류로 바꾸는 것을 정류라고 하는데, 교류를 직류로 바꿀 때는 여러 전원.. [전원·에너지] 2013.01.04
NAND FLASH란? 구조는? Nand Flash는 비휘발성 메모리로 전원이 꺼져도 Data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입니다. 우리가 쓰는 휴대폰의 내장메모리,외장메모리,USB 메모리,SSD Hard disk 모두 Nand Flash를 사용합니다. Nand Flash는 크게 SLC(Single Level Cell) 와 MLC(Multi Level Cell)로 나눕니다. SLC는 하나의 Cell에 하나의 Level 즉 0 또는 1.. [메모리] 2013.01.04
[회로전원] 정류회로 정류 회로 - 교류를 직류로 바꾸는 과정을 정류라 한다. - (+)와 (-)를 가진 교류전원을 (+)나 (-)의 한쪽 접압만을 흐르도록 하는 회로이다. - 다이오드 : 한쪽 방향으로만 전류를 흐르게 하는 특성이 있어 교류전압을 직류로 바꾸는 정류 회로의 핵심소자이다. - 종류 : 반파 정류회로, 전파 .. [전원·에너지] 2013.01.02
ISE Simulator Verilog Language Coverage (System Tasks) Verilog Construct ISE Simulator Support Comment SYSTEM TASKS AND FUNCTIONS Display System Tasks $display supported $displayb supported $displayh supported $displayo supported $monitor supported $monitorb supported $monitorh supported $monitoro supported $monitoroff supported $monitoron supported $strobe supported $strobeb supported $strobeh supported $strobeo supported $write .. [FPGA] 2012.12.26
칩 저항 리스트 (Thick Film Chip Resistor Marking Guide) NIC COMPONENTS CORP. NRC06FxxxxTR 0603 Size Thick Film Chip Resistor Marking Guide 3-Digit Marking Codes for +/-1% (F) tolerance E96 Values RESISTANCE VALUE NIC P/N 3 DIGIT MARKING 10.0 Ohm NRC06F10R0TR 01X 10.2 Ohm NRC06F10R2TR 02X 10.5 Ohm NRC06F10R5TR 03X 10.7 Ohm NRC06F10R7TR 04X 11.0 Ohm NRC06F11R0TR 05X 11.3 Ohm NRC06F11R3TR 06X 11.5 Ohm NRC06F11R5TR 07X 11.8 Ohm NRC06F1.. [소자] 2012.12.13
SDLC(Synchronous Data Link Control and Derivatives)란 무엇인가? Synchronous Data Link Control and Derivatives Background IBM은 1970년대 중반, System Network Architecture(SNA) 환경에서 사용이 가능한 Synchronous Data Link Control(SDLC) Protocol을 개발했다. SDLC는 동기 전송, bit-oriented 작동을 기반으로 하는 link-layer Protocol로서 처음 새롭게 개발된 것이다. Synchronous character-oriented(예를 .. [통신] 2012.12.10
HDLC - Transparency (Bit Stuffing, AISG) HDLC 프로토콜에서 Data의 Transparency를 확실히 하기 위한 방법이 여러 가지 있는데 그 중 한가지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HDLC 규격에 의거, Control-octet Transparency에 대한 소개이다. 가장 많이 대표적으로 쓰이는 기법이므로 만약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하고자 한다면 반드.. [통신] 2012.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