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561

온도 센서 - 써미스터(Thermistor)란 무엇인가? / PTC, NTC, CTR 저항의 차이점

써미스터란? ​ Thermistor는 Thermally Sensitive Resistor의 합성어로서, 온도 변화에 대해서 저항값이 민감하게 변하는 저항기를 말한다. ​ 자기(Ceramic) 재료에 코발트, 구리, 망간, 니켈, 티탄 등의 불순물을 첨가하여 만든다. ​ 이 반도체의 도전율이 주위 온도 변화에 민감한 것을 이용한 전자회로용 소자(素子)이다. ​ 원래 미국 웨스턴사(社)의 상품명이었으나 근래에와서 온도 검출용 반도체 소자의 대명사로 일반화되었다. ​ 일반적인 금속과는 달리, 온도가 높아지면 저항값이 감소하는 부저항 온도계수의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을 NTC라 한다. ​ 구조적으로 직열형(直熱形) ·방열형(傍熱形)지연형(遲延形)으로 분류되는데, 외형은 깨알만한 것에서부터 동전 크기만한것까지 ..

[소자] 2023.08.08

빔프로젝트 DLP 컬러휠 회전 방식과 3LCD 3원색 방식.

◐ 동영상 동작원리를 보시려면 - Link ​ 나름 조사한 바로는 아래와 같이 요약 할 수 있습니다. ​ ​ 3LCD 방식 ​ DLP 방식 ​ 3색 광원 ​ 동시에 3색을 출력 ​ 회전하는 컬러휠을 이용해서 3가지 색상이 번갈아 가면서 칼러를 출력 ​ 장점 ​ 색감표현이 좋다 ​ 명암비가 높다(좋다) ​ 단점 ​ * 3개의 판넬 부품 때문에 가격이 높다. * 아주 오랜시간 사용하면 LCD 열화 현상이 있다. ​ 레인보우 현상이 나타날수 있다. ​ 추천용도 사무실 가정용으로 유리 야외 캠핑용으로 유리 ◐ 대부분의 저가형 빔은 DLP 방식이고, 이방식은 레인보우 현상(무지개 현상)의 문제점이 있습니다. 다음 Link 에 있는 동영상에 잘 나와 있습니다. Link ◐ 하지만 이것은 보는 사람마다 다르게 느낄 ..

[카메라·영상] 2023.07.26

6분할 칼라휠(color wheel)

​ DLP 빔프로젝터는 이미 많은분들께서 알고계시기도 하지만 LCD 방식보다 높은 명암비 시간이 지나도 램프의 밝기가 유지되어 색감이 저하되지 않는다는 장점등이 있습니다.​ ​ 그렇기 때문에 가정에서 영화감상등의 목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요. 이런 DLP 빔프로젝터를 선택할때 무었을 봐야 하는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우선 DLP 방식이라고 하면 램프에서 나오는 빛을 RGB(Red, Green, Blue) 광원을 띈 컬러휠을 통과시켜 DMD 칩에 신호를 전달하여 투사하는 방식입니다. 컬러휠은 DLP방식의 핵심 기술인데요. 3분할 컬러휠부터 7,8분할 컬러휠까지 다양한 컬러휠이 있습니다. 각각의 컬러휠마다 장단점이 있으며 가정용으로 각광받는 컬러휠은 6분할 RGBRGB 컬러휠입니다. 듀얼 RGB 컬러휠..

[카메라·영상] 2023.07.26

PoCL (Power over Camera Link) 이란

PoCl의 표준은 AIA 위원회인 Matrox 사의 Dwayne Crawford에 의해서 개발됐다. 최근 표준으로 부각되고 있는 Power over Camera Link (PoCL)은 아래 과 같이 데이터 전송 케이블과 같은 케이블로 power를 카메라로 전송하는 것이다. 또한, 기존 전원 공급을 하지 못하는 Frame Grabber들을 위해 PoCL 기능을 갖는 Repeater 사용도 가능하다. PoCL의 장점은 카메라 뒷 부분에서 요구되는 인터페이스의 수를 줄여주는 것이다. 즉, Camera Link 케이블의 4개의 drain wires (4개 Ground)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하므로 한 케이블로 전원과 데이터를 전송함으로 카메라 전원 케이블을 제거하는 것이다. 이 개념은 USB-powered 장치..

[카메라·영상] 2023.07.05

HDMI 전송량은 어떻게 계산할까? (UHDTV User Forum)

HDMI에 대한 사양(기준)을 정하고, 관리(인증) 하고 있는 "HDMI Forum"은, 2017년 11월에 HDMI 2.1에 대한 사양을 공개하면서, HDMI 전송량에 대해서도 공개를 하였다(아래 이미지 도표). 헌데, 많은 분들이, 위 도표 이미지에 제시된 'HDMI 전송량'이 어떻게 나오는 것인지 궁금해 한다. 사실 HDMI가 복잡한 기술적 사안들이 많지만, 결국 HDMI도 인터페이스이기 떄문에, 그 핵심은 전송량이다. 해서 위 이미지 도표에서 제시한 'HDMI 전송량'이 어떻게 나온 것인지만 알아도, HDMI에 대해서는 물론 AV전반에 대해서도 이해를 할 수 있다. 이해를 돕기 위해 위 도표 이미지에서, 주로 상용화 되고 있는 7가지(①~⑦)를 예시로해서 설명하겠다. 단, 'HDMI 전송량' 계산..

[통신] 2023.07.02

4K HDMI/SDI 해상도 및 UHD 비디오 신호의 기본 이해 (엔에이소프트)

풀 60 Hz 프레임 속도, 4:4:4 크로마 서브샘플링, 그리고 10비트 색상을 지원하는 4K 비디오 신호에는 22 .28 Gbps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필요합니다. 4K 비디오 해상도 4K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거의 10여년 전부터 디지털 영화관, 과학 연구에서의 고급 시각화 및 의료 영상, 그리고 군용 시뮬레이션부터 테마 파크에 이르는 몰입 환경과 같은 하이 엔드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해왔습니다 . 최근 4K 디스플레이는 저렴한 가격대에 널리 보급되고 있으며 고해상도와 높은 픽셀 밀도의 장점이 비교적 전통적인 AV 설치에 점점 더 많이 필요해 지고 있습니다. 4K 및 UHD 비디오 신호용 데이터 전송 속도 비디오 신호에 필요한 대역폭에 영향을 주는 기본 요소로는 해상도, 프레임 속도, 비트 색 심도, 그..

[통신] 2023.07.02

4K 3890x2160 60Hz RGB 4:4:4 8bits 전송 대역폭

디지탈 영상신호의 전송 대역폭을 산출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우리나라도 아날로그 TV 방송에서 디지탈 TV 방송으로 전환한지 10년이 되었다. 그동안 많은 기술 발전이 있었으며, 나날이 발전하는 기술은 발전 속도가 더 빨라지고 있다. ​ 디지탈 방송의 기본이 되는 영상 신호의 디지탈화는 기본 기술 중의 기본 기술이다. 이번 블로그는 영상 화면을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할 때 필요한 대역폭을 어떻게 산출하는지에 대해 알아 보자. ​ ​ 1. 화소와 해상도 ​ 1) 화소 (Pixel) ​ • Pixel(화소)은 'Picture Element'에서 유래된 단어이다.화소는 화면을 구성하는 하나의 점으로 RGB 부분 화소(Sub Pixel)로 분해할 수 있으며, 화소의 갯수가 많을수록 고해상도의 화면을 구..

카테고리 없음 2023.07.02

[GigE Vision] 화인스텍 블로그 : GigE 인터페이스

머신비전 카메라 GigE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머신비전 카메라 GigE 인터페이스의 역사 GigE Vision은 고성능 산업용 카메라를 위해 2006 년에 도입된 인터페이스 표준입니다. 이더넷 네트워크를 통해 고속 비디오 및 관련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프레임 워크를 제공합니다. GigE Vision은 AIA(Automated Imaging Association)에 의해 제정되었습니다. 이 표준을 따르면 GigE Vision을 준수하는 카메라와 S/W라면 제조사 상관없이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 GigE 인터페이스의 장점? GigE Vision 인터페이스의 장점 중 손꼽을 수 있는 것은 단연 확장성입니다. 대형 장비에 여러대의 카메라 링크 카메라를 설치한다고 가정한다면, 일반적으로 P..

[통신] 2023.05.23

[GigE Vision] 영상 취득 동기화 (IEEE1588 standard)

IEEE 1588 표준으로 알려진 Precision Time Protocol(PTP)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를 동기화하는 패킷 기반 기술입니다. GigE Vision 2.0 표준에는 PTP IEEE 1588 기술이 통합되어 있어, 모든 GigE Vision 2.0과 PTP 사용 가능한 카메라와 장치를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마이크로초(microseconds : us) 이내로 쉽게 동기화 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는 카메라, 센서, 트리거, 모터 및 컨트롤러 사이에서 보다 높은 작동 정밀도를 사용하여 지터(jitter)를 낮추고 어플리케이션 속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동기화는 네트워크에서 다른 장치(슬레이브 클락(slave clock)으로 동작하는 장치)의 마스터 클럭(master clock) 역할을 할 장..

[통신] 2023.05.23

전송속도와 대역폭 이란 무엇인가?

1. 전송속도 전자 통신 분야에서 전송 속도란 어떤 네트워크 또는 시스템의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데이터가 이동하는 속도를 말한다. 이것은 단위 시간(보통 1초) 동안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옮겨진 데이터의 양을 나타낸다. 일정기간동안 전송한 정보의 양을 전송한 시간으로 나누는 방법으로 측정하며, 이것은 측정시간 동안의 평균 전송속도를 나타낸다. 단위로는 초당 비트수(bps)를 가장 많이 사용하며, 필요에 따라 초당 문자수(cps), 초당 블록수, 초당 패킷수, 보오(baud) 등을 쓰기도 한다. (참고자료 : http://ko.wikipedia.org/) 2. 대역폭(bandwidth) 대역폭(Bandwidth, 순한국말:띠너비)은 특정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주파수의 범위로, 헤르츠 단위로 ..

[통신] 2023.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