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563

포화 용량 (Saturation Capacity, Full Well Depth)

단위 : Electrons (e-) 의미 : 센서의 각 픽셀은 광자(photons)를 전자(electrons)로 변환하기 위해 광다이오드(photodiode)를 포함합니다. 이 광다이오드는 전자를 담을 수 있는 우물이나 양동이로 표현합니다. 포화 용량은 개별 픽셀이 광다이오드에서 저장할 수 있는 최대 전자의 수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이것은 센서의 픽셀 크기와 관련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픽셀 크기가 클수록 포화 용량이 더 커집니다.) 또한, 포화 용량이 클수록 다이나믹 레인지(dynamic range)도 커집니다. 포화 용량이 낮을수록 픽셀의 최대 수용에 더 빨리 도달하게 되며, 전자가 오버 플로우(overflow)가 되기 시작합니다. 픽셀에서 오버 플로우가 발생하면 이미지에 흰색(8bit일 때 255 ..

카테고리 없음 2022.06.02

NAND memory : ECC와 SLC/MLC 란

* ECC(Error Correction Code) 진행성 Bad Block 선별 및 Read기능 보완을 위한 기능이라 보시면 됩니다. NAND는 Read든 Write든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행히도 Erase/Write시 문제가 발생하면 메모리 자체에서 답변을 해주지만 Read시 데이타가 깨져서 나올경우 유저가 이를 알아낼 방법이 없습니다. 이러한 것을 커버해주는 기능이 ECC입니다. ECC는 다양한 단위로 사용되는데 통상적으로는 1bit Error 수정, 2bit Error 검출로 사용합니다.(SLC 메모리 기준) 즉 Read할때 정보가 1bit 깨졌을경우 알아서 보정을 할 수 있으며, 2bit 이상 깨졌을 경우 틀린것을 유저에게 알려 줍니다. ECC 사용 방법은 Write할때 미리 ECC 값..

카테고리 없음 2022.04.25

반도체 8대 공정 한 눈에 보기

https://www.samsungsemiconstory.com/kr/%EB%B0%98%EB%8F%84%EC%B2%B4-%EB%B0%B1%EA%B3%BC%EC%82%AC%EC%A0%84-%EB%B0%98%EB%8F%84%EC%B2%B4-8%EB%8C%80-%EA%B3%B5%EC%A0%95-%ED%95%9C-%EB%88%88%EC%97%90-%EB%B3%B4%EA%B8%B0/ [반도체 백과사전] 반도체 8대 공정 한 눈에 보기! – 삼성반도체이야기 반도체 산업에 관심 있다면 꼭 알고 있어야 하는 내용 중 하나가 바로 ‘반도체 8대공정’입니다. 어렴풋이 알고는 있지만 맥락을 다시 살피고 싶은 여러분들을 위해 반도체 제조공정을 한 눈에 www.samsungsemiconstory.com

카테고리 없음 2022.04.13

언더필(Underfill) 이란....

1. 언더필(Underfill)이란? 언어적 의미 그대로 밑을 메운다는 뜻입니다. 즉 BGA, CSP, Flip Chip등의 Package 밑을 절연 수지를 이용하여 완전히 메우는 공법을 말합니다. 2. 언더필을 굳이 해야할 필요가 있나요? 물론 모든 부품에 반드시 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가장 좋은 설계는 언더 필을 하지 않고도 시장에서 장시간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현실은 그렇지 않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언더필을 하도록 강요당하 고 있습니다. 특히 물리적 충격을 많이 받는 휴대용 기기나 열적 충격을 많 이 받는 초고속 통신기기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 언더필을 하는 이유 1) 물리적 충격의 내성 확보 - 낙하 충격(소비자가 휴대 중 떨어뜨릴 때 받는 충격) - PCB..

카테고리 없음 2022.03.16

e-MMC와 UFS 간 차이

JEDEC에서 Mobile 기기 Storage의 고속통신/고용량/저전력화 이유로 eMMC에서 UFS로 변경하는 추세다. ​ 이미 일부 AP의 경우 eMMC 인터페이슬 자체를 지원하지 않고 있다. Automotive AP도 UFS를 지원하는 추세로 eMMC와 UFS 기술을 비교해 보자. ​ 1) 인터페이스 방식 - UFS : High speed Serial (Full Duplex), SCSI Command set - eMMC : Low Speed Parallel (Half Duplex), MMC Command set 2) 속도 비교 - Read 속도 기준으로 eMMC5.x 대비 UFS2.1 기준 3배 이상 빠름 3) Command 처리 방식 - Nand Cell에 Data를 Read/Write 하기위한 C..

[메모리] 2022.01.13

렌즈 사양서에서 F 값 ?

F 값 (F/#) 머신비전 렌즈이건, DSLR 렌즈이건 F 값(F/#, F 넘버)이 렌즈에 혹은 사양서에 표기되어 있습니다. 아래는 쿠팡에 50mm 렌즈로 검색한 내용이에요 F 값(F/#, F 넘버) 앞에 50mm 가 초점거리(f)인 것은 다들 알고 계실텐데요. 쿠팡에 50mm 렌즈를 검색하면 위와 같이 나옵니다. "f와 F 값(F/#) 과는 다른 수치 입니다. 이 내용에 대해서는 초점거리 포스팅에 잘 나와 있습니다." 제품 명 보시면 뒤에 F1.8, F.1.4 등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촬영에서 F 값(F/#, F 넘버)은 카메라 렌즈의 밝기를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실효 F 값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실효 F 값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아래 삼성 홈페이지의 갤럭시 노트 9 의 ..

[카메라·영상] 2021.12.10

디스플레이의 감마 보정 (Gamma Correction)의 이해

감마 (Gamma)는 사실상 모든 디지털 이미징 시스템 (Digital Imaging Sysyem)에서 중요합니다. 이것은 픽셀의 수치와 실제 휘도의 관계를 정의합니다. 감마가 없으면 디지털 카메라로 캡처한 음영이 표준 모니터에서 우리 눈처럼 보이지 않습니다. 감마 보정, 감마 인코딩 또는 감마 압축이라고도 하지만 이러한 모든 개념은 비슷한 개념을 나타냅니다. 감마 작동 방식을 이해하면 이미지 편집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을뿐 아니라 노출 기법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감마가 유용한 이유 1. 우리의 눈은 카메라가 하는 것과는 다르게 빛을 인지합니다.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 광자수가 센서에서 2배가되면 신호 세기도 2배가 수신됩니다 (선형 관계). 그러나 우리의 눈은 그렇게 작동하지 않습니다. 대신, 우리..

[카메라·영상] 2021.12.08

픽셀 비선형성 모델을 기반으로 한 영상센서 불균일 특성 보정

초록 균일한 광량의 빛이 카메라에 입력되었을 때 카메라 영상센서 각 픽셀은 이상적으로는 균일한 응답을 보여주어야 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이러한 픽셀의 불균일 응답 특성 은 영상품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만, 고정된 형태의 잡음이므로 보정과정을 통해서 잡음을 제거할 수 있다. 영상센서 불균일 보정 방법은 특정 광량에서의 기준값만을 가지고 보정계수를 구하는 방법 등을 사용하곤 했지만, 센서의 비선형성으로 인하여 신호가 작은 경우, 혹은 반대로 아주 큰 경우에서는 보정 효과가 크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 러한 영상센서의 비선형 특성을 고려하여 픽셀 불균일 보정계수 계산하는 방법을 기술하 고 자체 구현한 카메라와 별도의 시험셋업을 이용하여 불균일도 시험을 수행하여 알고리 즘을 검증하였다. ..

[카메라·영상] 2021.12.08